download0 view745
twitter facebook

공공누리This item is licensed Korea Open Government License

Title
A Pilot Study on Global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Network Platforms
Alternative Title
A Pilot Study on Global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Network Platforms
Author(s)
이정식김병철
Alternative Author(s)
Lee, Jeong-Sik; Kim, Byung-Cheol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Publication Year
2013-12
Description
funder : 미래창조과학부
funder : KA
agency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agency :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Abstract
지금 세계 대부분의 나라는 기술혁신과 기술사업화가 일자리 창출 및 경제 성장,그리고 글로벌 경쟁의 우위 확보에 결정적 역할을 한다는 사실에 공감하고 있다. 그러나 그와 동시에 효율적이고 역동적인 글로벌 기술사업화 네트워킹 플랫폼을 구현하는 데 적지 않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기술사업화에서 가장 앞서 있다고 할 수 있는 미국내의 기술사업화 전문가들 역시 민간부문에 있어 기술사업화가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는 데 비해 공공부문에서의 기술사업화는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고 있다는 점을 공통적으로 지적하고 있는 상황이다. 기술사업화 생태계의 구축이 쉽지 않은 데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크게 볼 때 기술사업화 생태계는 다양한 주체들이 경쟁과 상호보완의 복잡한 관계로 얽혀 있을 뿐 아니라, 각 국가, 지역, 기술 영역 등에 따라 차별화된 맞춤형 접근법이 필요하기 때문에 획일화된 벤치마킹 접근방식으로는 성과를 거두기가 어렵다는 데 그 근본원인이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보고서는 글로벌 기술사업화 생태계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 및 지원프로그램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를 수집 분석하는 한편 지식 및 정보의 흐름을 연구함으로써 성공적인 기술사업화를 지원할 수 있는 글로벌 기술사업화 생테계 네트워킹 모델을 제시하는 데 그 목표를 두었다. 본 보고서에서 연구팀은 기술사업화 생태계의 주요 분석 대상으로서 대학을 비롯하여 대학내 기술이전 및 특허계약 전담 부서, 여러가지 형태로 나누어져 있는 신생 기업 양성기관 (인큐베이터 및 엑셀러레이터), 기술중매기업, 지방 및 중앙 정부, 나아가 대기업, 중소기업 및 상공회의소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 접근 방식을 택하였다. 이와 아울러 연구의 효과와 현장감을 극대화하기 위해 기술사업화 관련 문헌연구를 진행함과 동시에 미국 조지아공대를 중심으로 한 조지아주의 기술사업화 생태계에서 핵심역할을 담당하는 각 기관의 주요인사들과 15 차례에 걸친 심층적인 개별 면담조사를 수행하였다. 문헌연구에 있어서는 기술사업화 네트워킹 플랫폼에 관한 일반 문헌을 비롯하여 중소기업의 기술사업화를 중심으로 한 정보 수집 및 공공 지원 프로그램에 관한 문헌을 개괄하였으며 개별 면담조사에 있어서는 기술사업화 주요분석대상의 역할, 운용 및 생태계 발전 등에 관한 제언에 중점을 두었다. 이를 통해 연구팀은 글로벌 기술사업화 네트워킹 플랫폼이 지향해야 할 특성을 (1) 기술수요 중심적 접근 (2) 실수요 현장 밀착 점검 (3) 멘토 네트워크 형성 (4) 인센티브 정립 (5) 원활한 정보채널 확보 (6) 공공 지원 프로그램 구축 등으로 파악하였다.

기술사업화 생태계 모형과 관련하여서는 크게 세 가지 종류의 모형을 다루었다. 첫번째 모형은 현재 미국의 선도적 연구중심 대학들로부터 나오는 혁신기술을 기반으로 한 벤처 형성 및 육성 모형이다. 이 모형에서는 대학의 기술이전 및 특허계약 전담 부서 및 신생기업 형성 및 육성 프로그램, 그리고 대학의 연구팀과 벤처 형성 및 육성 프로그램을 직·간접적으로 지원하는 지방정부가 주도적 역할을 한다. 신생기업의 체계적인 형성과 육성 및 초기 원천기술의 보호가 이 모형의 주안점이자 장점이다. 두번째 모형은 기술관련 전문인력 확보 및 우월한 글로벌 네트워킹을 바탕으로 하여, 기술수요자와 기업의 핵심 기술에 근접한 연구팀 또는 기업으로 구성된 기술공급자 사이의 중개역할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기술중매기업들이 주된 네트워킹 플랫폼 역할을 담당하는 모형이다. 이 모형은 기술사업화에 있어 매우 중요한 기술 수요·공급자의 현황 파악 및 기술사업화의 최종수요 그룹과 원천기술 공급자간의 커뮤니케이션 등에 있어 상대적인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미국에서는 실제적으로 대학의 기술이전 및 특허계약 전담부서와 기술중매 전문기업은 각각이 단일 플랫폼을 이루고 있다기보다는 상호 보완적인 다중 플랫폼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그 속에서 공공부문의 체계적인 제도적 지원이라는 측면에서는 기술이전 전담부서 중심의 모형이, 글로벌 네트워킹이라는 측면에서는 기술중매 전문기업이 각각 상대적인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연구팀은 이 세번째인 혼합모형을 향후 기술사업화 생태계 모형 구축을 위한 바람직한 모형으로 제시하는 바이다.

한 가지 유의해야 할 것은 앞서 간략히 언급한 글로벌 기술사업화 네트워킹 플랫폼이 지향해야 할 특성과 위에서 요약 제시한 기술사업화 플랫폼 모형은 서로 매우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다. 오늘날 기술사업화의 전략적 핵심은 신생기업이 흔히 직면하게 되는 여러가지 위험, 예컨대 기술적 위험, 시장적 위험, 경영·운용적 위험 등을 어떻게 최소화하는가와 맞물려 있다. 기술수요 중심적 접근 및 멘토 네트워크의 형성은 시장의 수요파악에 도움을 주어 시장적 위험을 줄이는 데 기여하고, 멘토링과 정보채널 확보 등은 경영·운용적 위험을 관리하는 데 유용하다 할 수 있다. 공공지원 프로그램 역시 신생기업의 시장적 위험과 경영·운용적 위험 부담을 덜어줌으로써 기술사업화 성공률 제고에 기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연구팀은 이와 같은 관련요소 및 제도들의 연계적 발전 필요성을 파악, 제시함으로써 대학의 기술이전 및 특허계약 전담부서 역시 단순한 기술이전 및 특허계약을 통한 관련기술 보호 및 지적재산권 행사라는 일차적인 업무수행단계를 벗어나, 벤처 형성 및 육성 담당기관과의 긴밀한 협력, 기술중매 전문기업을 포함한 글로벌 네트워크 연계를 통한 수요중심의 접근방식 도입 등 기술사업화의 실질적 플랫폼으로 발전하게 되는 모형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보고서가 미 조지아 주와 조지아공대를 중심으로 한 특정지역·대학의 기술생태계 사례 분석에 집중하고 있으므로 동 사례 및 그에 따른 모형을 일반화하는 데는 다소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음 몇 가지 사항은 기술사업화 생태계 모형 구축에 있어 반드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라 판단되므로 향후 정책 수립 및 구체적 실천방안 연구에 충분히 반영될 수 있기를 희망하는 바이다. 오늘날 기술사업화는 과거에서처럼 연구개발 당사자가 여러가지 위험 요인을 안고서 극히 낮은 성공률의 벤처사업에 직접 뛰어드는 형태를 벗어나고 있다. 오히려 수요와 시장 중심적 접근이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세부단계마다 전문가그룹으로부터의 멘토링 및 직접적 경영 참여가 성공적인 기술사업화의 핵심요인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따라서 향후 바람직한 기술사업화 생태계 조성을 위한 공공부분에서의 지원 역시 수요와 시장 중심적 접근방식에 기반한 신생기업 형성·육성 프로그램 지원 체계 조성 및 기술정보 시스템 구축 등에 초점을 맞추어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II. INTRODUCTION
Technological innovation plays a critical role in economic development and job creation. However, innovation per se has only limited impact unless it is transformed into commercial output that can be manufactured, marketed, and consumed. The transition from innovation to commercial products is a notoriously challenging process, characterized by extremely high uncertainty and involving many players, each of which can perform only a part of the necessary functions for the transition. The difficulty in making that transition holds true not only for technologies generated from primary research institutions such as universities and government labs, but also for those from firms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in particular) operating in competitive markets, in which only “proven” technologies get rewarded. This calls for the establishment of a platform that supports the process by effectively linking across and motivating the involved players. In particular, as intensifying global competition accelerates investments in R&D with greater emphasis in the innovation of products and processes, it appears imperative that any country exert its best efforts to maximize output from activ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which benefits public wellbeing and serves as a key component for enhancing global competitiveness. Moreover, with the increasing trend of globalization, the supply and the demand side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re also becoming more global, thereby requiring platforms to transcend national boundarie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governments increasingly make concentrated efforts to build and manage such platform that can facilitate the seamless transition from technological innovation to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he new government in Korea is also joining this general movement.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7. KISTI 연구성과 > 연구보고서 > 2013
URI
https://repository.kisti.re.kr/handle/10580/11217
http://www.ndsl.kr/ndsl/search/detail/report/reportSearchResultDetail.do?cn=TRKO201500002327
Fulltext
 http://www.ndsl.kr/ndsl/commons/util/ndslOriginalView.do?dbt=TRKO&cn=TRKO201500002327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