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0 view320
twitter facebook

공공누리This item is licensed Korea Open Government License

Title
한일 기업의 개방형 기술혁신 분석을 통한 지원정책 도출 연구
Alternative Title
Policy Research on Open Innovation of Korean and Japan firms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Publication Year
2010-10
Description
funder : 교육과학기술부
agency : 교육과학기술부
agency :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Abstract
○ 개방형 혁신은 기업 내외부 자원을 목적성을 가지고 전략적으로 활용하여 기업의 성과를 향상시키는 총체적인 활동이며 이를 위해서는 기업 내외부의 혁신시스템이 유기적으로 연계되는 것이 필요함
○ 첨단산업뿐만 아니라 식품 등의 전통 제조업에도 필요한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특성에 맞는 개방형 혁신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개방형 혁신 중심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과 이의 분석을 통해 정책과제를 도출하였음
○ 한국과 일본의 417개 기업 (회수율 21%) 이 설문에 참여: 중소기업 51%
○ 외부와의 협력을 위한 투자비율
- 한국기업의 평균 29.3% vs. 100-300인 미만 중소기업 32.4%
- 중소기업의 외부 협력 원천 의존도 높음
○ 연구개발 프로세스 단계별 외부와의 협력 비율
- 기초연구단계 37.1% vs. 프로세스 개선단계 21.7%
- 기초연구단계에서 외부와의 협력 필요성 多
○ 도업 제품이 당해 1년도에 전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
- 100인 미만 기업 16.7% vs. 1,000인 이상기업 9%
- 중소기업의 대기업 임가공 수주로 인한 영향
○ 정보활용, 기술도입, 협업등 외부와의 원천의 활용
- 평균지표 3이하로 외부원천 활용 미흡
- 개방성 지표 기준 중소기업 1.04 vs. 대기업 1.4
○ 협업 및 기술도입 원천
"고객"의 비중이 가장 높고 중소기업 대기업대비 “대학/공공연구소” 의존도
○ 협력활동의 저해요인
- 내부 요인 : 기획역량부재, 내부협력프로세스의 부족
- 외부: 협력파트너 및 기술네트워크의 부족
○ 협업을 위한 시스템
- 협업시스템의 보유율은 일본보다 높음
- 기술중개 기관과의 협업시스템의 보유율은 미미함 (12~13%)
○ 기술도입과 판매를 위한 인력 또는 기관
- 전체 기업의 56% 양 기능 보유
- 미보유율 : 기술도입 7.9% VS. 기술판매 40.7%
- 인력구성 : 도입 고경력연구원 VS. 판매 마케터 선호(일본 고경력연구원)
○ 기술중개기업은 중소기업이 거의 활용하고 있지 않음
- 한국 평균 4.4%, 일본 5.4%
○ 기술전략방법론의 활용
- 기술제품로드맵, 포트폴리오, 경쟁정보 : 84-86%
○ 개방형혁신 측정 및 보상지표 활용비율: 50%(보상-판매 )-58.8%(획득-평가)
○ 개방성을 영향 요인
(+)혁신보호, 기술전략 방법론 활용, 보상지표, 협업시스템, 내부기술연계자, 협업시스템
○ 개방성과 성과
(-) 시장관련 정보 원천, 연구개발원천 기술도입
(+) 시장관련 원천 기술도입
(na) 연구개발관련 정보원천, 일반정보원천, 전체협업원천
○ 결론
- 상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이슈와 EU의 개방형 정책연구를 감안하여 중소기업의 개방형 혁신 체계 강화를 위한 정책대안을 제안함

o To study the open innovation In SME and the various trials to adapt the open innovation as the innovation strategies in EU
o To derive factors affecting the open innovation and the firms' performance and to compare the factors and the openness in SME in Korea and Japan.
o To suggest the open innovation policies for the 5ME based on this study
Open innovation describes innovation processes, in which the boundaries of the firm are porous (Chesbrough, 2003; Lichtenthaler & Ernst, 2006; Laursen & Salter, 2006; Christensen 등, 2005). Accordingly, companies actively interact with their environment which leads to involving a wide range of internal and external technology sources and get chances to enter into the new market with different notion compared to the closed innovation.
We review the open innovation in SMEs and the trial to adapt open innovation in the innovation policies in EU from the prior studies. Chapter 2 provides the methodology for the survey and analysis of open innovation.
Chapter 3 investigates the status of openness and the factors related to the open innovation. Additionally, it describes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of the factors affecting to the openness and its relationship to the performance. Chapter 4 suggests the policies for the implementation of open innovation in SMEs based on the issues derived from Chapter 1 and 3.
Keyword
Open innovation; openness; University; government-funded research organization; Innovation Audit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7. KISTI 연구성과 > 연구보고서 > 2010
URI
https://repository.kisti.re.kr/handle/10580/10983
http://www.ndsl.kr/ndsl/search/detail/report/reportSearchResultDetail.do?cn=TRKO201100003969
Fulltext
 http://www.ndsl.kr/ndsl/commons/util/ndslOriginalView.do?dbt=TRKO&cn=TRKO201100003969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