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tem is licensed Korea Open Government License
dc.contributor.author
이원혁
dc.contributor.author
이찬균
dc.contributor.author
손일권
dc.contributor.author
심규석
dc.contributor.author
임현교
dc.contributor.author
김주봉
dc.date.accessioned
2025-01-02T08:33:34Z
dc.date.available
2025-01-02T08:33:34Z
dc.date.issued
2024-12-31
dc.identifier.issn
2635-5728
dc.identifier.uri
https://repository.kisti.re.kr/handle/10580/19283
dc.identifier.uri
https://doi.org/10.22810/2024KIB077
dc.description.abstract
양자통신 기술은 초연결 사회의 보안과 데이터 전송을 혁신할 핵심기술로 부상하며, 전 세계 주요국들이 이를 국가 전략으로 채택해 연구와 인프라 구축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 미국은 민관 협력을 바탕으로 양자 네트워크의 통합과 기술 생태계를 조성하고 있으며, 유럽연합(EU)은 양자 플래그십, EuroQCI 등의 프로젝트를 통해 유럽 전역의 양자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은 양자위성 발사와 독립적인 연구 생태계로 국제 기술 경쟁에서 주도권을 확보하려 하고, 일본은 학계와 산업계를 연계해 표준화와 상용화에 집중하고 있다. 한국 역시 양자암호 기술과 통신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중장기 로드맵을 수립하여 안보와 산업적 활용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글로벌 동향을 분석하여 KISTI가 국내 양자통신 연구에서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전략적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KISTI는 양자통신 인프라의 연구 및 실증 환경을 확장하고, 국제 표준화 활동에 참여하여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강화할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산·학·연 협력을 통해 연구 생태계를 강화하며, 기술 상용화와 인재 양성을 위한 지속 가능한 재원 확보와 협력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KISTI의 이러한 접근은 국내 양자통신 기술의 성장을 촉진하고, 다가오는 글로벌 양자 네트워크 시대에 기여할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