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tem is licensed Korea Open Government License
dc.contributor.author
서신원
dc.contributor.author
이재민
dc.contributor.author
고병열
dc.date.accessioned
2019-11-12T06:18:07Z
dc.date.available
2019-11-12T06:18:07Z
dc.date.issued
2019-08-30
dc.identifier.isbn
978-89-294-1089-6 93500
dc.identifier.uri
https://repository.kisti.re.kr/handle/10580/15325
dc.description
미중 무역전쟁과 일본의 수출규제 등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이 심화되며,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글로벌 패러다임의 구조적 변화가 빠르게 진전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객관적 데이터에 기반한 기술 주도권 및 경쟁우위 제품 분석과 한국의 과학기술의 기초체력에 대한 심층 분석이 요구된다.
본고는 기계학습 기반으로 특허문서에서 제품 키워드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분석하는 TOD(Technology Opportunity Discovery) 시스템을 통해 미국 특허문서에서 추출한 제품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국, 미국, 일본, 독일, 중국 5개국의 1등 특허제품의 변천사를 분석하였다.
최근 10년간의 동향을 보면 미국, 일본, 독일, 한국 4개국이 1등 제품을 독식하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전반적 미국과 일본의 강세 속, 한국, 독일 등이 독자적 영역을 구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등 제품의 변화 추이를 보면, 미국과 일본은 20% 이내의 1등 제품 교체율을 보이는 반면, 한국은 48%에 달해 매우 다이나믹한 특성을 보이고 있음이 확인된다.
1등 제품의 이동 현상은 국제적 경쟁이 치열한 첨단산업과 일부 사양산업의 양극단 분야에서 주로 관찰된다. 첨단 제품일수록 1등 제품을 놓치지 않으려는 기술 개발경쟁은 더욱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근거로 본고에서는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기초체력을 진단하고, 특허 정보와 제품 간의 연계를 통해서 동향 분석뿐만 아니라 정책 수립 등 거시적 분석의 객관적 근거가 될 수 있는 다면적인 통계정보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