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0 view850
twitter facebook

공공누리This item is licensed Korea Open Government License

dc.contributor.author
이필우
dc.contributor.author
이용호
dc.contributor.author
김재성
dc.contributor.author
김환민
dc.contributor.author
주원균
dc.contributor.author
김광영
dc.contributor.author
현미환
dc.contributor.author
김재훈
dc.contributor.author
이혜진
dc.contributor.author
김은진
dc.contributor.author
그외 다수
dc.date.accessioned
2018-11-02T04:56:57Z
dc.date.available
2018-11-02T04:56:57Z
dc.date.issued
2013-11
dc.identifier.uri
https://repository.kisti.re.kr/handle/10580/11356
dc.identifier.uri
http://www.ndsl.kr/ndsl/search/detail/report/reportSearchResultDetail.do?cn=TRKO201600012175
dc.description
funder : 미래창조과학부
dc.description
funder : KA
dc.description
agency : 미래창조과학부
dc.description.abstract
4.연구 내용 및 결과
○ (사례조사)각 국의 정부는 공공데이터의 가치창출 효과에 주목하고 공공정보에 대한 접근성 및 편의성 향상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전개하고 있으며,이를 통해 민간 정보서비스 산업 활성화를 촉발하고 있음
- 이용자 편의성을 최우선으로 하여 정보서비스를 기획하고 데이터 정제·가공·분석 등 다양한 방면의 서비스를 제공
• 미국)플랫폼을 오픈소스로 개방.데이터셋/챠트/지도 등 다양한 채널로 전달.시민제안 접수를 위한 별도 사이트 운영 등
• 영국)원천데이터 중심의 데이터 개방.LOD기술 도입,‘CKAN‘을 오픈소스로 공개 등
- 민간기업에서는 공공데이터 또는 외부 데이터를 내부 데이터와 결합하여 신규 비즈니스 발굴 및 기존 서비스/제품 역량 강화에 활용하고 있으며,데이터가 시장상황 및 소비자니즈와 맞물려 다양한 자원(인력,자금,네트워크,홍보력 등)과 함께 비즈니스로 구현될 때 활용효과가 극대화
• 해외 사례)Biobase사의 바이오정보서비스,클라이밋 코퍼레이션의 ‘기후보험’개발,도쿄해상 화재보험의 ‘위치정보 활용 맞춤형 보험상품’안내 등
• 국내 사례)한국석유공사의 ‘국내 유가 예보 서비스’,K-weather의 ‘날씨 정보’,SK텔레콤의 'T-map'등

○ (미래부 보유DB현황)미래부 공공데이터의 세 가지 유형화 방안을 제시하고,5차 조사를 통해 총 800개 DB리스트를 확보함
- 정보관리 관점에서 기관유형별,정보유형별,정보활용 관점에서 활용목적별 분류기준을 제안함
• 기관유형별 :정부부처,준정부기관-기금관리형,준정부기관-위탁집행형(정보통신진흥 관련기관,과학문화진흥 관련기관,특수임무형 기관),기타공공기관(연구수행형 기관,연구지원·관리형 기관,특수임무형 기관)
• 정보유형별 :기관운영(행정),정보통신/과학문화진흥,국가R&D관리,국가연구개발(R&D),특정임무수행
- 특히,활용목적별 분류기준 수립시 창조경제타운,사회문제해결형 기술개발사업,안행부 33개 분류체계 등 기존 분류체계를 고려
- 미래부 종합검토를 통해 도출된 공공데이터의 목표개방률은 67%(부분개방 포함)로,주요한 미개방사유는 '공공행정 업무의 공정한 수행을 위한 경우'로 분석됨
• 미래부 공공데이터는 전면개방을 원칙으로,개방-부분개방-미개방의 3개 등급으로 분류함
- 기관별로 DB의 편차가 크고 종류가 다양하여 체계적인 품질관리가 요구되며,기관 지원·협력체계 구축,수요반영 등이 필요함

○ (수요조사) 7,063명 대상 설문조사,공공데이터 유경험자 10인 대상 FGD(FocusGroup Discussion)을 실시하여 미래부 공공데이터의 활용가치와 잠재수요를 확인함
- 설문응답자의 89%가 향후 준비 상태에 따라 미래부의 공공데이터를 활용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됨
- FGD를 통해 활용비즈니스 아이디어(20개)와 구체적인 시나리오(3개)를 확인함
• 비즈니스 모델(아이디어):레저활동용 위치 서비스,인체정보를 활용한 온라인/모바일 피팅(fitting)시뮬레이션 서비스,동물 질병 안내 앱,구인구직정보 서비스,자금 자원 대비 성과 분석서비스,사교육비 감소를 위한 공유 E-learningsystem등
• 비즈니스 시나리오 :한국인 인체정보를 활용한 가상 피팅(fitting)B2B 서비스 사업,의료정보 데이터 (CT,MRI)공동활용 사업,R&D 기업에 대한 투자 의사결정 지원정보 사업
- 미래부 공공데이터는 ‘신규 사업 기획에 활용’이 가장 중요한 활용목적이며,마케팅/판매활동에도 활발하게 적용될 것으로 기대됨
-‘데이터 소재파악 어려움’이 데이터 미활용의 가장 큰 이유로 분석되며,이용편의성 향상,고품질의 데이터 확보가 미래부 공공데이터 개방의 핵심 성공요인으로 조사됨

○ (미래부 공공데이터 서비스방안)'미래부 ICT/과학기술 공공데이터포털'을 허브로 민간 중심의 데이터-아이디어-비즈니스 순환형 지식생태계 조성을 추진함
- '미래부 공공데이터 개방·활용'이란 미래부 산하·유관기관이 보유한 과학기술/ICT 데이터를 오픈플랫폼 형태로 민간에 개방하고,데이터의 가공을 통한 공공서비스 제공,민간 활용 아이디어 발굴 촉진 및 지원 등 다양한 지원활동을 제공하여 공공데이터가 경제적·사회적 가치창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종합서비스를 의미함
- 데이터 수집효율화,데이터 접근성/재활용성 제고,공공데이터 활용생태계 조성,종합정보지원체계 구축의 4대전략을 추진함
- 미래부 공공데이터포털은 크게 세 가지 정보서비스로 구성됨
• 과학기술/ICT지식정보 개방·활용 서비스 :공공데이터 수집 및 등록관리,공공데이터 아카이브,공공데이터 통합 검색,공공데이터 활용지원,공공데이터 제공기관 지원
• 분석기반 수요자 맞춤형 서비스 :사용자 분석형 매쉬업(Mash-up),과학기술/ICT데이터 연계 융합,클라우드 기반 과학기술/ICT종합정보지원,지식정보 활용 매트릭스 분석
• 창조적 협업기반 가치창출형 서비스 :아이디어 발굴 지원을 위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자발적 참여 기반 아이디어 공유·커뮤니티 서비스,공공데이터 활용 멘토링(mentoring)서비스(창조경제타운 연계)
- 미래부 공공데이터서비스를 정부 공공데이터포털과 협력·추진하는 동시에 창조경제타운과 연계

○ (향후 공공 데이터 공개 추진방향)DB의 개방준비도와 수요도를 고려하여 103개 우선개방 대상 DB를 선별하고,단·중·장기별 데이터 개방계획을 수립함
- 준비도와 수요도가 높은 DB(103개)를 위주로 단기간 우선 개방을 추진하고,중기까지 그 외의 개방대상 DB432개로 개방범위를 확대하여 목표개방률 67%를 달성
- 장기적으로는 수요도가 높으나 준비도가 낮은(현재 미개방)DB의 가공 등 추가 작업 필요여부,개방가능성을 재검토

○ (향후 정보 서비스 부문 추진방향)전체 사업기간을 5년(2014년~2018년)으로 설정하고,2+3체제에 따라 데이터 개방계획,추진로드맵,12대 추진과제를 제안함
- 1단계(2년)는 서비스 기반 마련 및 시범서비스 개시에 집중하고,2단계(3년)는 서비스 본격화 및 민간활용 지원 확대에 주력함

○ 미래부 공공데이터 서비스의 시범 적용 및 본격 개시를 위해 향후 5년 동안 추진해야할 기술적·정책적 과업을 12개 추진과제로 정리,제안
- ISP 개발,데이터 표준화,포털 구축,정보융합 기반 구축,큐레이션서비스 구현,담당자 업무지원,홍보/교육,DB확충,제도 설계,서비스 성과관리,수요모니터링,전담조직 지정 등
- 미래부가 사업을 주관,의사결정을 수행하고,지정된 전담조직(기관)이 사업의 운영 및 관리를 총괄하는 형태로 추진체계를 설계함
• 서비스운영 :미래부 공공데이터 종합관리,단계별/연차별 계획 수립,기술 연구·도입,서비스 발굴/기획 등
• 품질관리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절차 및 체계 마련,품질 개선 강화,표준화 연구개발 등
• 활용지원 :데이터 분석 지원 테스트베드 구축·운영,개인맞춤형(1:1)안내,데이터 활용 컨설팅,매쉬업 개발자 지원 등
dc.description.abstract
4.Research Results
○ (Benchmarks)Governments in every country take notice of the value created by using public data and deploy various policies to make them more Accessible and easy,finally,to upgrade an information service industry.

○ (MSIP's DB)3 types of MSIP's public data were identified and 800 DB were collected through 5 surveys.
- Criteria for data classification are suggested in terms of organization,information and usage.
- Targeted rate for the opening the public data is determined to be 67% from MSIP's review and the main reason not to open all data is the fairness in public service.

○ (Needs)MSIP's public data is found to be valuable and attractive to potential consumers from the7,063 on-line surveys and FGD(Focused Group Discussion)composed of more 10 experienced persons.
- 89% of respondents show their intention to use MSIP's public data and 20 business ideas and 3 user scenarios are identified from FGD.
- MSIP's public data is expected to be utilized primarily in new business planning and also in marketing& sales.
- The bigges tbarrier to using MSIP's public data is surveyed to be 'difficulty to find out the data consumers want to' and,therefore, easy-to-use and high quality information will be key success factors to the MSIP's data sharing service.

○ (MSIP's service model) Virtuous cycle model consisting of Data-Idea-Biz is suggested with 'MSIP's ICT/Science Public Data portal'centered in.
- 'MSIP's public data open·sharing'is defined to be the integrated service to provide MSIP's data to the private sector as an open platform,to support an idea in cubation and,finally,to connect to the financial and social value creation.
- 4 major strategies are suggested; Effective data collection,Easy-to-use and Reusability Improvement,Ecosystem construction, Integrated Support System.
- MSIP's Public Data Portal is designed to provide 3 services;Science/ICT Knowledge open·sharing service,Customized Service,Collaboration-based value creation service
- MSIP's Public Data service combined with 'Creative Economy Town'can establish a full-cycle support system for NPD/NSD in science/ICT.

○ (Opening & sharing plan) Depending on DB's readiness and a cosumer'sneeds,103 DBs will be open in stepwise way.

○ (Future Plans)5 years(2014~2018)are necessary for the project and stepwise execution is proposed,which consists of 2 years and 3 years.
- In the first period(2 years),service plan will get ready and,in the second period (3 years),service will be initiated and focused on supporting the private usage.

○ (Action items)12 task items are proposed during 5 years for a trial application and a full service.
- ISP development, Public data standardization, Portal site construction, Intelligence fusion system, Curatorial service,Supporting system,Marketing/Education,DB Expansion,Schemes and guidelines, Performance management, Needs monitoring, Assignment of organization in charge.
- MSIP will be in charge of the proposed project and assigned organization(institution or company)will operate it.
• 3functional offices;Service Management,Quality control,Support part
dc.publisher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dc.publisher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dc.title
융합형 공공 데이터 개방서비스 방안 연구
dc.title.alternative
Study on the PSI Service Development in the Science and ICT Field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Lee, Pil-U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Lee, Yong-Ho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Kim, Jae-Seo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Kim, Hwan-Mi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Ju, Won-Gy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Kim, Gwang-Yeo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Hyeon, Mi-Hwa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Kim, Jae-H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Lee, Hye-Ji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Kim, Eun-Ji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et al
dc.identifier.localId
TRKO201600012175
dc.identifier.url
http://www.ndsl.kr/ndsl/commons/util/ndslOriginalView.do?dbt=TRKO&cn=TRKO201600012175
dc.type.local
최종보고서
dc.identifier.koi
KISTI2.1015/RPT.TRKO201600012175
Appears in Collections:
7. KISTI 연구성과 > 연구보고서 > 2013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