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tem is licensed Korea Open Government License
Title
참조표준정보 이용에 관한 조사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Publication Year
2001-01
Abstract
I. 제목
참조표준정보 이용에 관한 조사
II. 연구개발의 목적 및 중요성
참조표준정보는 신뢰할 수 있는 공인 데이터로, 산업계 생산 현장 및 과학기술 연구개발에 기초가 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국민 체위조사데이터 1개만이 확립되어 있다. 따라서 각 분야별로 같은 종류의 참조표준정보가 중복 개발되거나 독자적인 참조표준정보 사용으로 각기 다른 기준이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과학기술 연구개발 및 산업생산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참조표준정보 이용실태 및 필요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조사에서는 전문 분야별로 현재 이용하고 있는 참조표준정보와 향후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참조표준정보를 수집하고자 한다. 여기서 수집된 데이터는 효율적인 참조표준정보 DB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III.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1. 연구개발 내용
참조표준정보에 대한 설명을 한 뒤, 현재 참조표준정보 이용 실태, 참조표준정보의 수집 및 제작, 참조표준정보의 제공, 참조표준정보 홍보
구체적인 수집된 참조표준정보는 다음과 같다.
1) 현재 이용하고 있는 참조표준정보
2) 향후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참조표준정보
3) 수집·제작하여 보유하고 있는 참조표준정보
4) 향후 수집·제작할 계획인 참조표준정보
2. 연구개발 범위
1) 조사대상자
연구개발정보센터와 산업자원부에서 제공한 기술사, 산업계 종사자, 연구소, 대학교 연구자 List를 기본 조사 대상자로 하였다.
List에 명시되지 않은 사람이더라도 다음과 같은 자격을 갖추었을 경우 조사 대상자에 포함시켰다.
전문분야가 생명과학, 공학, 농수산학, 천문/대기/해양학이면서
산업체, 기업체의 기술개발 연구원이거나 (국공립) 연구소에 재직하고 있는 과학기술 연구원이거나
2) 표본수 : 총 2,002명
3) 조사지역 : 제공된 List에 명시된 모든 지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4) 조사기간 : 2000년 12월 15일 ∼ 2001년 1월 19일
IV. 연구개발결과 및 활용에 관한 건의
1. 결과 요약 :
1) 참조표준정보 이용
참조표준정보 향후 이용 의향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참조표준정보를 연구활동 및 기술개발에 이용하고 싶다는 경우가 전체(2002명)의 87.8%로 높은 편인데, 전문 분야별(생명과학, 공학, 농수산학, 천문/대기/해양 ...)이나 소속 기관별(기업체, 연구소, 대학교 ...)로도 큰 차이 없이 이용 의향이 높다.
이에 비해 현재 참조표준정보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는 전체(2002명)의 21.0%로 향후 이용 의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현재 이용하고 있고 향후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참조표준정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별책 : 참조표준정보 정리 보고서-전문 분야별로 분류」에 실려있다.
2) 참조표준정보 수집/제작
직접 참조표준정보를 수집, 제작해 Database로 구축중인 경우가 전체(2002명)의 17.0%이며, 향후 구축 계획이 있는 경우는 27.6%이다.
이는 기존 정보들이 연구활동 및 기술개발에 활용하기에 (정보의 양과 내용측면에서) 적당하지 않거나, 유사한 정보가 없기 때문이다.
Database로 구축 중인 구체적인 참조표준정보와 향후 구축 계획인 참조표준정보는 「별책 : 참조표준정보 정리 보고서-전문 분야별로 분류」에 실려있다.
참조표준정보를 직접 구축중인 경우는 340명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정보 수집 및 제작활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자체내의 실험, 측정(70.3%)이나 공표된 인쇄물(논문, 잡지 등, 62.4%)을 통해 참조표준정보를 입수하는 경우가 많으며, 인터넷을 이용하는 경우도 32.1%이다.
이렇게 입수한 참조표준정보를 디지털화(컴퓨터에 입력)한 경우가 69.4%로 가장 많으며, 다음이 단순 인쇄물(Original Data만 있거나 색인으로 분류된 정도, 51.8%), 출판물(35.6%)인 경우이다.
아직 참조표준정보를 디지털화하지 못한 경우, 81.8%가 컴퓨터에 입력할 계획을 갖고 있다.
참조표준정보를 Database화 할 때 사용하는 Software(DataBase Manager System)는 직접 구입(시판되는 것을 구입, 특별 주문)하는 경우가 45.3%로 가장 많으며, 그 외 독자적으로 개발(26.1%)하거나 컴퓨터 제조업체에서 제공하는 것을 무료로 이용(22.4%)하고 있다.
참조표준정보를 Database화하는 데 인력(73.8%)이 가장 많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시간(53.8%), 자금(49.7%)이 부족하다는 응답이 많다.
3) 참조표준정보 제공
참조표준정보를 구축한 경우, 340명을 대상으로 참조표준정보를 어떻게 제공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소속되어 있는 내부기관이나 외부 기관에 구축한 참조표준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경우는 72.1%이며, 향후 제공할 계획을 갖고 있는 경우는 89.4%이다. 향후 정보 제공 계획을 갖고 있는 경우(305명), 인터넷(50.5%)을 통해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 인쇄물(43.3%), CD/디스켓등(38.7%), (내부) On-Line을 많이 꼽는다.
참조표준정보를 내부기관이나 외부기관에 제공하고 있는 경우는 245명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정보 제공 실태를 살펴보았다.
제공하고 있는 정보에 대해서는 권리를 주장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55.1%로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 본인/팀에서 소유(26.9%), 특정 기관에 위임하는 것(10.2%)이 좋겠다고 응답된다.
내부기관이나 외부기관에 제공되고 있는 참조표준정보는 인쇄물(61.6%)이나 온라인(36.7%)/인터넷(36.7%)을 통해 주로 제공되고 있으며, CD/디스켓 등으로 제공하는 경우는 47.8%이다.
아직 제한된 User에게만 참조표준정보를 제공하는 경우가 51.4%로 가장 많으며, 모든 User에게 제공하는 경우는 26.1%이다. User요구에 의해 제공하는 경우는 35.5%이다.
User Guide나 Manual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가 72.7%로 제공하고 있는 경우(27.3%)보다 많다.
구축한 참조표준정보를 내부기관이나 외부기관에 제공하지 않는 경우(95명), 주된 이유는 아직 정보가 불완전하기 때문이다.
4) 참조표준정보 홍보
참조표준정보의 홍보 및 정보유통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관련 예산을 확보(57.3%)하고 외부에 정보 제공을 위한 창구를 마련(52.5%)해 해당 언론 출판물/학회지(49.4%) 외에 연구개발정보센터 홈페이지(29.0%), 관련 학술대회(18.5%)에서 홍보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 같다는 의견이다.
2. 활용 건의 :
현재 국내에 제대로 구축된 참조표준정보가 없어 현재 연구활동이나 기술 개발에 이용되고 있는 비율은 낮지만 참조표준정보의 활용 의사는 매우 높다. 필요한 정보라 직접 수집, 제작하고 싶긴 하지만 인력, 시간, 자금 등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적절한 참조표준정보가 이용하기 쉽게 제공된다면 연구활동 및 기술개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조사에서는 다양한 전문 분야(생명과학, 공학, 농수산학, 천문/대기/해양 ...)별로, 현재 이용하고 있고 필요한 참조표준정보가 무엇인지 간략하게 알아보았다. 이를 토대로 가장 먼저 구축되어야할 참조표준정보를 선정하는 작업이 이뤄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따라 연구활동 및 기술개발에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참조표준정보 DB를 만들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정보 내용, 정보 범위, 활용 분야, 정보의 제공방법 등에 관한 심층적인 연구가 이뤄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I. Title
Report on Standard Reference Data.
II. Objective
Standard reference data means credible certificated data and a basis on industrial field and research development of science technology. Even though this good points, only people body position research data has a prestige and other standard reference data have been overdeveloped or mix-used by individual industry field, in Korea.
To add more value to industrials and science technology, it is needed to research on using Standard Reference Data and finding necessary information in diverse industrial field.
For the current request, this research will collect not only using Standard Reference Data but also expected necessary Standard Reference Data. This collected data will be used on DB in industrial manufacturing field and research development field of science technology.
III. Contents and Scope
1. Contents.
1) current usage of Standard Reference Data
2) expected necessary Standard Reference Data in the near future.
3) preserving Standard Reference Data collected or made
4) Standard Reference Data expected to be collected or be made
2. Scope
1) Research subjects
Engineers recommended by KORDIC and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workers, Engineers in research center, university, and scientific and industrial experts.
If a person meets following conditions, he/she is available as a research subject.
A R&D researcher works at industrials/commercials, National/government Research Center or a doctor lectures at College/University
And his/her major is one of Life Science, Technology, Agronomy/Fisheries Science , Astronomy/Oceanography/Atmosphere Science.
2) Sample
the number of sample is total 2,002
3) Research Area
all area where the list is referred
4) Period
2000. 12. 15. ∼2001. 1. 19
IV. Discussion.
1. Findings
1) Application of Standard Reference Data
potentialities of application of standard reference data is very high. 87.8% of total 2,002 subjects hope to apply standard reference data to Research and Development field as the major scope in the futur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ithin one's major field and within one's place of work.
However, the real application of standard reference data is relative low, 21.0%. The details of which standard reference data is applied and needed are mentioned in APPENDIX
2) Collecting/Building standard reference data
17.0% of total 2,002 subjects are now collecting and building their own standard reference data and 27.6% of total have a plan to construct. Existing data is not helpful nor available especially in applying it to R&D in point of contents and quantities. The details of building and about plans to construct standard reference data are wrote down in APPENDIX
The number of case of constructing standard reference data is 340 and the activities of collecting and building data are as followings.
1) by their own experiments(70.3%)
2) by published papers including theses, articles(62.4%).
3) by internet(32.1%)
The percentage of arranging the collecting data into digitalization on computer is 69.4%. Secondly, just keeping the data as printed matter(e. g. Original data, Index) is 51.8%. In the second case, most data will be planned to digitalization on computer (81.8%).
On structuring the standard reference data, Software(Database Manager System) is purchased individually(by special order, on the market). The percentage of it is 45.3%. Developing their own software is 26.1% and using the free supplements from computer maker is 22.4%.
The most difficulties of digitalization are manpower problems(73.8%), time(53.8%) and fund(49.7%).
3) Supplying standard reference data
For the 340 cases which have their own digitalized standard reference data, it is observed that how their standard reference data supplies.
72.1% of 340 samples supplies standard reference data to both internal and external centers and 89.4% of them are going to. In this case(305 samples), they will supply it by internet(50.5%), printed matter(43.3%), CD/Diskette(38.7%), internal On-Line and so on.
The number of respondents who don't supply standard reference data to internal nor external is 245. About the question on the authorities of supplied data, 55.1% of them has an opinion that the authorities should be invalid and 26.9% of them insist that the authorities belong to themselves/their team and 10.2% respond that the authorities should be delegated to specific organs.
The format of standard reference data to internal and external center are printed matter(61.6%), On-Line(36.7%) and Internet(36.7%), CD/Diskette(47.8%) and so on.
51.4% of respondents say it's still open to limited users, and only 26.1% supplies to all users. 35.5% say If only there are users' requests.
The major reason of disallowing to supply to internal/external center is that standard reference data is not perfect.
4) Promotion of standard reference data
To promote and distribute standard reference data, making a fund(57.3%) or a window for supplying standard reference data to external(52.5%) is necessary. Besides, publishing on papers(49.4%) or using homepage of KORDIC(29.0%) and relative academic seminars(18.5%) are suggested.
2. Implication
Actually, for there has been no well-organized standard reference data, the degree of real application is low besides intentions of future application in the work field are high. If the proper standard reference data are able to acquired with easy format, it is expected to improve the Research Activities & Technological Development.
On this research, it is simply investigated that which standard reference data is necessary by professional field(Life Science, Technology, Agronomy/Fisheries, Science, Astronomy/ Oceanography/ Atmosphere Science...).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finding the priorities of basic standard reference data can be executed. Next, there should be a further research on the detail information contents, scope, application field, the way of supplying, for structuring useful and helpful standard reference data to real Research Activities & Technological Development.